본문 바로가기
꿀팁정보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계산 신청 방법 금리 조건 알아보기

by bravosis 2024. 5. 5.

썸네일

 

 

 

청년도약계좌는 사회초년생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높은 금리와 비과세 혜택은 물로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기여금을 추가로 지급해 줍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계산 방법과 신청 방법, 금리 및 신청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계산 방법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재무 안정성을 높이고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자유적립 비과세 저축 계좌입니다. 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하며, 계약일에 상관없이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합니다.

 

 

또한 개인 소득 구간에 따라 최대 월 24,000원을 정부기여금으로 추가로 지급받게 됩니다. 납입 기간은 5년이며,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정부기여금 기준

 

정부기여금은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각 구간별 매칭 비율이 있으며, 월 납입 금액에 매칭 비율을 곱한 금액을 지급해 줍니다.

 

개인 연 소득 기준 지급 한도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40만 원 6.0% 24,000원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50만 원 4.6% 23,000원
4,8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 원 이하)
60만 원 3.7% 22,000원
6,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 원 이하)
70만 원 3.0% 21,000원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정부 기여금 지급액 없음 / 이자 및 비과세 혜택 적용 가능

 

 

 

 

3.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계산 방법

정부기여급 = 월 납입 적금 금액 * 매칭 비율
** 월 적금 납입 금액이 각 소득 구간별 지급 한도액을 초과할 경우 지급 한도액까지 인정

 

ex) 소득 3600만 원 이하

  • 월 적금 납입액이 45만 원(지급 한도 이하) 일 경우
    • 45만 원*4.6% = 2만 700원 지급
  • 월 적금 납입액이 60만 원(지급 한도 이상) 일 경우
    • 50만 원*4.6% = 2만 3천 원 지급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신청 가능합니다. 세부 일정에 대한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5월은 10일까지 신청기간이니 가입을 원하는 분은 얼른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www.kinfa.or.kr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은 취급 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및 신청 가능합니다. 만약 외국인일 경우 해당 은행 계좌가 없다면 지점 방문 후 가입 가능하고, 계좌가 있는 경우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은 SC제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국민, 전북, 대구, 부산, 광주, 경남 은행 총 12개입니다.  해당 계좌 금리는 4.5% 기본 이율에 우대 금리 1.5% 적용되어 최대 6%입니다.

 

 

12개 취급 은행 모두 적금 적용 금리는 최대 6% 이율로 동일하고, 각 은행마다 우대 금리 조건이 다를 수 있어 나에게 맞는 조건은 무엇인지 개별 확인이 필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 만 19세 ~ 만 34세 이하
    • 병역의무 기간을 뺀 나이가 만 34세일 경우 가입 가능
    • 단, 병역의무 기간 증명이 가능한 경우 최대 6년 인정
  •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250% 이하
    • 본인 및 주민등록등본상 가족 기준
  • 직전 과세 기간 소득 기준 부합
    •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 금액 6,300만 원 이하
  • 직전 3개 과세기간 동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 1번이라도 대상자였던 경우 가입 불가
  • 직전 과세 기간의 소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전전년도 소득 인정
    • 이후 직전과세 기간 신고 소득이 소득 요건 이상일 경우 일반 과세 전환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계산 방법과 신청 방법, 금리 및 신청 조건을 알아봤습니다. 요즘 은행 적금 금리가 많이 주는 곳도 4% 중반입니다. 매달 70만 원을 꾸준히 적립해도 5년 동안 최대 모을 수 있는 돈은 4,600만 원정도 되는데요, 최대 6% 이자와 비과세 혜택, 정부 지원금까지 합하면 최대 5천만 원을 모을 수 있으니 꼭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