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추석 연휴 때 신랑과 친정집을 가는 도중에 저속으로 앞 차 뒤만 따라가다가 빨간불에 신호위반을 한 것 같습니다. 하필 어린이 보호구역이었는데, 좁은 이차선 도로여서 정체 중에 앞 차 따라가다가 발생한 일이었죠. 제가 잘못한 일이지만 과태료가 얼마나 나올지 걱정이 되어서 신호위반 조회를 해봤습니다.
신호위반 조회 방법
1. '경찰청 교통민원 24(이파인)' 조회
2. 경찰청 민원실(182)로 전화
신호위반을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위의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검색으로 쉽게 할 수 있고, 경찰청 민원실(182)로 전화하는 것은 조금 더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저는 먼저'경찰청 교통민원 24(이파인)'에서 조회를 해봤는데요,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면 회원가입 없이 간단하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이름 주민번호 입력 → 공인인증서 로그인 → 최근 무인단속내역
모바일 앱으로도 조회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저는 따로 앱을 다운로드하는 게 귀찮아서 모바일 검색으로 시도를 했어요. 근데 각종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야 했는데, 폰으로 진행했더니 다운로드가 잘 안되더라고요.
그래서 그냥 집에 가서 PC로 했습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신호위반 조회라고만 입력해도 바로 사이트가 나오니까, 굳이 '경찰청 교통민원 24'라고 안쳐도 됩니다. 이파인이라고 검색만 해도 뜹니다.
조회를 했더니 아직은 위반 사항이 없다고 나오더라고요. 아마 아직 정보 수집이 안된 모양이었습니다. 알아보니 경찰청 민원실로 전화를 하면 조금 더 빨리 알 수 있다고 해서 직접 전화도 해봤어요.
182로 전화를 걸고 3번을 누른 후 1번을 누르면, 주민번호 입력 후 상담원과 연결됩니다.
182 → 3번 → 1번 → 주민번호 입력
신호위반 조회 기간
경찰청 민원실로 전화를 해서 알아보니 위반을 했다고 바로 조회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정보 확인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통 5일에서 7일 정도 소요된다고 해요.
다른 블로그에서는 2~3일만 지나도 확인이 된다고 하는데, 연휴였던 점도 있고 주말이 끼여있어서 그런지 현재 4일 정도 지났음에도 조회는 안되고 있어요.
주말 공휴일 제외 5일은 아니겠죠...? 내일 다시 조회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제발 위반한 게 아니었길 바라요.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위반 조회 과태료
제가 위반한 곳이 어린이 보호구역이었는데요, 일반지역 신호위반 보다 벌점이나 과태료가 훨씬 셉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위반 조회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이파인에서 조회하면 위반 장소가 함께 나옵니다.
- 일반지역 신호위반 과태료 7만 원
-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위반 과태료 13만 원
거의 2배 가까이 차이가 나죠? 저는 웬만해서 어린이 보호구역 30킬로 속도도 꼭 지키는 편인데, 차도 많고 워낙 저속 주행 중이었어서 신호를 제대로 못 봤네요.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신경 써서 운전해야겠습니다.
한 가지 더! 교통 위반을 하게 되면 범칙금과 과태료가 있습니다. 범칙금은 경찰에게 직접 적발되어 운전자가 누군지 확인이 가능할 때 부과되는 것이고, 범칙금은 벌점도 함께 받게 되니 참고 바랍니다.
저처럼 무인 단속기에 걸렸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누군지 확인이 어려워 차 번호로 조회되는 차량 소유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과태료는 벌점은 없습니다.
보통 범칙금이 과태료보다 조금 더 적은 금액이긴 한데, 벌점이 있으니까 범칙금보다는 과태료를 내는 것이 훨씬 낫겠죠? 그전에 우선 교통법규 위반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신호위반 조회 방법과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위반 조회 과태료는 얼마인지 알아봤는데요, 즐거운 명절 연휴에 신호위반으로 괜히 찝찝함만 더해졌네요. 앞으로는 더욱 조심히 운전해야겠습니다. 늘 안전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댓글